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aop
- 이팩티브 자바
- 자료구조
- 자바
- vue.js
- 알고리즘분석
- SQL쿡북
- 자바예외
- 인덱스
- jpa
- 인프런백기선
- CleanCode
- MariaDB
- java
- 이펙티브자바
- 클린코드
- 스프링부트와AWS로혼자구현하는웹서비스
- 알고리즘
- AWS
- AWS RDS
- 혼공SQL
- 기술면접
- 자바스터디
- 이펙티브 자바
- react
- mysql
- 인프런김영한
- 네트워크
- 도메인 주도 개발 시작하기
- DDD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272)
기록이 힘이다.

p9, 열거 타입은 인스턴트가 하나만 만들어짐을 보장한다. p9, 같은 객체가 자주 요청되는 상황이라면 플라이웨이트 패턴을 사용할 수 있다. p10, 자바 8부터는 인터페이스가 정적 메서드를 가질 수 없다는 제한이 풀렸기 때문에 인스턴스화 불가 동반 클래스를 둘 이유가 별로 없다. p11, 서비스 제공자 프레임워크를 만드는 근간이 된다. p12, 서비스 제공자 인터페이스가 없다면 각 구현체를 인스턴스로 만들 때 리플렉션을 사용해야 한다. p12, 브리지 패턴 p12, 의존 객체 주입 프레임워크 완벽 공략 1. 열거 타입 Enumeration -상수 목록을 담을 수 있는 데이터 타입. -특정한 변수가 가질 수 있는 값을 제한할 수 있다. 타입-세이프티(Type-Safety)를 보장할 수 있다. -싱글톤 패..

같은 매개변수를 가지는 메서드를 만들 수 있다. 매개변수에 따른 return 값을 반환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의 구현체를 return 할 수 있고 매개변수에 따라 다른 인스턴스를 반환할 수 있다. 자바 8 이후로 static한 메서드를 interface에 선언할 수 있다. iterable한 클래스이다. 정적 팩토리가 들어간 상태에서 인터페이스만 있으면 된다. --> 구현체가 없어도 된다.
firestore는 데이터를 객체의 형태로 저장합니다. 이때 데이터를 객체의 형태로 저장하는 공간을 문서(document)라고 합니다. 그리고 여러 문서들을 저장하는 문서의 컨테이너인 컬렉션이란 개념이 존재합니다. 테이블이나, 행의 개념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https://firebase.google.com/docs/reference/js/firestore_?authuser=0&hl=ko @firebase/firestore | Firebase JavaScript API reference firebase.google.com
useEffect훅의 두 번째 인자 useEffect 훅은 첫번째 렌더링과 이후의 모든 업데이트에서 콜백함수를 호출합니다. 하지만 이렇게 업데이트가 일어날 때 마다 기능을 실행하는것이 불필요할 수 있습니다. useEffect의 두 번째 인자에 빈배열을 전달하면 딱 한번 실행되도록 만들어 최적화 할 수 있습니다. (https://ko.reactjs.org/docs/hooks-effect.html#tip-optimizing-performance-by-skipping-effects) https://firebase.google.com/docs/reference/js/v8/firebase.auth.Auth#onauthstatechanged Auth | JavaScript SDK | Firebase JavaScri..

React Context 일반적인 React 애플리케이션에서 데이터는 부모로부터 자식에게 props를 통해 전달됩니다. 하지만 1. 애플리케이션 안의 여러 컴포넌트들에 동일한 props값을 전해줘야 하는 경우, 혹은 2. 오로지 하위 컴포넌트로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해 중간에 위치한 컴포넌트들에 전달하는 용도로만 쓰이는 props를 사용할 경우 이 과정이 번거로울 수 있습니다. context는 React 컴포넌트 트리 안에서 데이터를 전역으로(global)사용할 수 있도록 고안된 방법입니다. Context를 이용하면, 트리 단계마다 명시적으로 props를 넘겨주지 않아도 많은 컴포넌트가 이러한 값을 공유하도록 할 수 있습니다. useReducer useState의 대체 함수입니다. 보통 숫자형이나 문자열 ..

git init --> git 파일 생성 git status --> git 상태 확인 git add . --> 모든 파일 추가하기 git commit -m "메세지 내용" --> git commit 하기 여기까지 잘 하고 원래 올리던대로 github에 올리는 git과 github의 branch 이름이 달라져서 main과 master로 2가지가 생기는 문제가 발생했다. git pull origin main --allow-unrelated-histories 깃허브에 소스를 업로드 한다. git push -u origin main
https://blog.wishket.com/%ED%8C%8C%EC%9D%B4%EC%96%B4%EB%B2%A0%EC%9D%B4%EC%8A%A4firebase%EB%9E%80-%EB%AC%B4%EC%97%87%EC%9D%B8%EA%B0%80-%ED%8C%8C%EC%9D%B4%EC%96%B4%EB%B2%A0%EC%9D%B4%EC%8A%A4-%EC%8B%AC%EC%B8%B5-%ED%83%90-2/ 파이어베이스(Firebase)란 무엇인가? 파이어베이스 심층 탐구 : 중편 파이어베이스의 도움을 받아 만들 수 있는 앱의 종류에는 사실상 제한이 없습니다. 파이어베이스를 사용할 수 있는 플랫폼에만 제한이 있을 뿐입니다. 파이어베이스의 SDK가 주로 염두에 두고 blog.wishket.com 앱에서 사용자의 개인 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