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인덱스
- 도메인 주도 개발 시작하기
- mysql
- SQL쿡북
- CleanCode
- 기술면접
- AWS
- java
- vue.js
- 자바예외
- aop
- 인프런백기선
- 자바스터디
- 이펙티브자바
- 알고리즘
- 자바
- DDD
- 알고리즘분석
- react
- 클린코드
- 이팩티브 자바
- AWS RDS
- 스프링부트와AWS로혼자구현하는웹서비스
- 자료구조
- 이펙티브 자바
- MariaDB
- 인프런김영한
- 혼공SQL
- 네트워크
- jpa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272)
기록이 힘이다.

import DaumPostcode from 'react-daum-postcode'; const [address, setAddress] = useState(""); // 우편번호 const [detailaddress, setDetailaddress] = useState(""); //api상의 주소 const [detail2address, setDetail2address] = useState(""); //상세주소 const {addDocument, response } = useFirestore('manmul'); const [openPostcode, setOpenPostcode] = useState(false); //카카오api /** * 카카오api handle */ const clickButton =(..

table 안에 input 박스를 만들어 두니 만들지 않은 열에 행이 생겨 버린다. 왜지? 하다가 td 태그를 지워주니 input 박스가 잘 살아 있으면서 선이 지워졌다.
[번역] useState 지옥에서 벗어나기 리액트 컴포넌트를 작성하다보면 하나의 컴포넌트 안에 여러개의 useState를 사용하게 되는 경우를 종종 마주치는데요, 이 글에서는 useReducer를 사용하여 그러한 “useState 지옥” 으로부터 벗어나 velog.io

-문자열 -사실상 동일한 객체라서 매번 새로 만들 필요가 없다. -new String("자바")을 사용하지 않고 문자열 리터럴 ("자바")을 사용해 기존에 동일한 문자열을 재사용하는 것이 좋다. public class Strings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tring hello = "hello"; //TODO 이 방법은 권장하지 않습니다. String hello2 = new String("hello"); String hello3 = "hello"; System.out.println(hello == hello2); //false System.out.println(hello.equals(hello2)); //true System.out.println(he..

p29, 이 패턴의 쓸만한 변형으로 생성자에 자원 팩터리를 넘겨주는 방식이 있다. p29, 자바 8에서 소개한 Supplier 인터페이스가 팩터리를 표현한 완벽한 예다. p29, 한정적 와일드카드 타입을 사용해 팩터리의 타입 매개변수를 제한해야 한다. p29, 팩터리 메소드 패턴 p30, 의존 객체가 많은 경우에 Dagger, Guice, 스프링 같은 의존 객체 주입 프레임워크 도입을 고려할 수 있다. -팩터리 메소드 패턴 구체적으로 어떤 인스턴스를 만들지는 서브 클래스가 정한다. 새로운 product를 제공하는 팩토리를 추가하더라도, 팩토리를 사용하는 클라이언트 코드는 변경할 필요가 없다. -스프링 Ioc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 주로 읽어서 완독하였다. 동생의 추천으로 읽게 되었는데 하나의 사전처럼 이용도 가능할 것 같다. 부족했던 IT 지식들을 채울 수 있었던 유의미한 시간들이었다. part1 웹/디자인 part2 네트워크/통신/데이터 part3 데이터베이스/자료구조 part4 클라우드/데브옵스 part5 운영체제/시스템/보안 part6 소프트웨어 공학/ 프로그래밍 언어 part7 개발상식 part8 4차 산업혁명 기술 8개의 파트로 되어 있고 그 안엔 그저 용어만 들어봤던 내용들도 알차게 많이 들어있었다. 기술면접을 볼 때도 도움이 많이 될 것 같았다.

1.private 생성자 + public static final 필드 간결하고 싱글턴임을 API에 들어낼 수 있다. // 싱글톤을 사용하는 클라이언트 테스트하기 어려워진다. 2. private 생성자 + 정적 팩터리 메서드 API를 바꾸지 않고도 싱글턴이 아니게 변경할 수 있다. 3. 열거 타입 가장 간결한 방법이며 직렬화와 리플렉션에도 안전하다. 대부분의 상황에서는 원소가 하나뿐인 열거 타입이 싱글턴을 만드는 가장 좋은 방법이다.
https://devlog-wjdrbs96.tistory.com/231 [Github] Pull Request를 통해 코드리뷰(Code Review)하는 법 혼자 개발하는 것이 아닌 여러 명에서 협업을 통해서 개발을 하는 과정에서 Git을 사용해서 하고 있을 것이다. 이 때 기능별로 브랜치를 만들거나 각자 팀만의 브랜치 전략에 맞게 브랜치를 나눠 devlog-wjdrbs96.tistory.com branch를 따서 개발을 진행하게 되면서 관련 자료를 찾아보았다. 백엔드 온보딩을 하면 pull request를 진행해 보았는데 그것보다 훨씬 복잡한 과정이 진행되는 듯 보였다. 아직 부족하고 모르는 게 많다는 생각에 잘 채워나갈 수 있도록 노력해야 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회사의 규모가 적어 코드리뷰를 하는 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