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스프링부트와AWS로혼자구현하는웹서비스
- jpa
- react
- 이펙티브자바
- 자료구조
- 기술면접
- java
- 네트워크
- 자바
- 알고리즘분석
- MariaDB
- 자바예외
- 자바스터디
- mysql
- vue.js
- 이팩티브 자바
- 인프런김영한
- 인덱스
- 알고리즘
- AWS
- AWS RDS
- 클린코드
- 혼공SQL
- CleanCode
- 인프런백기선
- 도메인 주도 개발 시작하기
- aop
- DDD
- SQL쿡북
- 이펙티브 자바
- Today
- Total
기록이 힘이다.
2차 인증 서버 구성 본문
AAA 프로토콜
AAA는 인증(Authentication), 권한 부여(Authorization), 계정 관리(Accounting)을 의미 함
인증(Authentication) : 네트워크나 시스템에 접근을 허용하기 전에 사용자의 ID 및 패스워드 등을 사용하여 사용자 인증 권한 부여(Authorization) : 인증을 통과한 검증된 사용자가에게 어떤 수준의 접근성 및 권한, 서비스 등을 제공 할 것인지 결정
계정 관리(Accounting) : 인증 및 권한이 부여된 사용자 정보를 관리 ex)과금, 용량증설 등
AAA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여러 인증 프로토콜이 사용될 수 있음
RADIUS, TACACS+ 등의 여러 프로토콜이 사용될 수 있음
RADIUS (Remote Authentication Dial In User Service)
리빙스턴에서 1990년 중반에 개발한 분산 보안 시스템 인증 프로토콜
RADIUS 클라이언트와 RADIUS 서버로 구성되어 짐
RADIUS 서버는 인증 전용 서버의 역할을 하며 인증에 필요한 자격 정보가 저장되고 관리되며 활용 UDP 1812번을 사용하여 인증, 인가와 관련된 통신을 하며, 계정 관리는 UDP 1813번을 사용함
TACACS+ (Terminal Access Controller Access Control System)
TACACS는 표준 RFC 1492에 의해서 정의된 AAA를 기반으로 하는 분산 보안 인증 프로토콜임
TACACS+는 TACACS를 개선한 것으로, Cisco에 의해서 개발되었으며, TCP 49번을 사용
'컴퓨터 공학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SSL VPN 접근하기 (WatchGuard) (0) | 2023.01.06 |
---|---|
무선 라우터 설정 (0) | 2022.07.10 |
STP(Spanning Tree Protocol) (0) | 2022.07.10 |
VTP(VLAN Trunking Protocol) (0) | 2022.07.03 |
서브넷팅과 VLSM (0) | 2022.06.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