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MariaDB
- react
- 기술면접
- 이팩티브 자바
- 인덱스
- 이펙티브자바
- aop
- AWS
- DDD
- jpa
- 인프런김영한
- CleanCode
- 자료구조
- vue.js
- 알고리즘분석
- 자바예외
- SQL쿡북
- 이펙티브 자바
- 알고리즘
- java
- 자바스터디
- 혼공SQL
- 네트워크
- mysql
- AWS RDS
- 자바
- 도메인 주도 개발 시작하기
- 인프런백기선
- 스프링부트와AWS로혼자구현하는웹서비스
- 클린코드
- Today
- Total
목록큐 (2)
기록이 힘이다.
1. 원소 간에 일대다 관계를 맺는 비선형 자료구조 2. 원소 간에 계층 관계를 맺는 계층형 자료구조 3. 상위 원소에서 하위 원소로 내려가면서 확장되는 트리(나무) 모양의 구조 4. 그래프 중에서 사이클을 포함하지 않는 연결 그래프 1. 노드 : 트리를 구성하는 원소들 2. 루트 노드: 트리의 시작 노드 3. 간선: 노드를 연결하는 선 4. 부모 노드: 어느 한 노드에 대하여 이 노드의 상위에 연결된 노드 5. 자식 노드: 현재 위치한 노드 아래에 연결된 노드 6. 형제 노드: 같은 부모를 같는 노드 7. 조상 노드: 서브 트리에 있는 하위 레벨의 노드들 8. 자손 노드: 서브 트리에 있는 하위 레벨의 노드들 9. 서브 트리: 부모 노드와 연결된 간선을 끊었을 때 생성되는 트리 10. 노드의 차수: 노..
스택(stack) 1. 자료를 하나씩 쌓아 올린 형태로 가장 먼저 입력된 데이터는 맨 아래에 놓이고 그다음 입력되는 데이터가 그 위에 쌓이는 구조 2. 스택에서 입.출력이 이루어지는 부분을 상단(top)이라고 하고 반대쪽인 바닥 부분을 스택 하단(bottom)이라 함. 3. 가장 늦게 삽입한 원소가 가장 먼저 삭제되는 후입선출(LIFO: Last-In First-Out) 구조 4. 배열이나 연결 리스트로 구현 가능 5. 스택의 top에서 원소의 삽입과 삭제가 일어남. 6. 스택의 삽입 연산은 push, 삭제 연산은 pop 시스탬 스택 1. 수행 중인 프로그램의 함수나 서브 프로그램들의 복귀 주소와 관련 정보들을 저장 2. 프로그램에서의 호출과 복귀에 따른 수행 순서를 관리하기 위한 스택 3. 함수 호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