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자바
- 기술면접
- 클린코드
- java
- CleanCode
- 인덱스
- 자료구조
- 인프런백기선
- DDD
- MariaDB
- 알고리즘
- vue.js
- 이팩티브 자바
- 자바스터디
- 인프런김영한
- 이펙티브 자바
- 스프링부트와AWS로혼자구현하는웹서비스
- 알고리즘분석
- 이펙티브자바
- AWS
- jpa
- react
- mysql
- AWS RDS
- SQL쿡북
- 혼공SQL
- 네트워크
- 자바예외
- aop
- 도메인 주도 개발 시작하기
- Today
- Total
기록이 힘이다.
TCP/IP 계층 구조 및 역할 본문
TCP/IP란?
-인터넷을 사용하는 모든 통신의 기본적인 프로토콜
-한 개의 프로토콜이 아닌 여러 가지 프로토콜 조합
-TCP/IP를 기반으로 BAN, PAN, LAN, MAN, WAN 구간의 장치들이 원활히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음
-OSI 7 계층과 달리 4개의 계층으로 표현 됨
-TCP는 서비스를 , IP는 주소를 의미함
-수 많은 프로토콜들이 IP 주소를 기반으로 동작함
<네트워크 접속 계층>
OSI 참조 모델의 물리 계층과 데이터링크 계층의 역할을 수행
프레임의 송신과 수신을 담당함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 | RARP(Reverse Address) |
목적지의 MAC 주소를 모를 경우 이를 알아내기 위해서 사용하는 프로토콜 | 목적지의 IP주소를 모를 경우 이를 알아내기 위해 사용하는 프로토콜 |
ARP는 Broadcast, RARP는 Unicast를 수행
NIC, 스위치와 허브는 네트워크 접속 계층을 대표하는 네트워크 장치
에러 검출 기능이 있으며, 패킷을 프레임화
ARP는 Broadcast, ARP의 대한 응답은 Unicast를 수행
<인터넷 계층>
OSI 참조 모델의 3계층의 역할을 수행함
패킷의 송신과 수신을 담당하며, IP 주소 체계를 관리함
패킷을 수신하면, IP 주소를 확인하여 패킷을 목적지로 보내는 라우팅 기능 수행
라우팅 경로는 어떠한 라우팅 프로토콜을 쓰느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IP(Internet Protocol) | I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장치들을 나타내는 수단이며, v4(32bit)와 v6(128bit) 2가지가 존재함 | 인터넷 제어 메시지 프로토콜이며, 장치 간의 통신 가능 여부를 확인할 때 사용(ex. Ping) |
ICMP는 Echo Request(요청) 및 Echo Reply(응답)로 구성됨
<전송 계층>
종단 간의 통신이 완성되는 계층이며,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UDP(User Datagram Protocol)가 대표적임
TCP와 UDP는 포트번호를 사용하여 통신함
TCP는 신뢰성 있는 통신을 제공하지만, UDP는 TCP에 비해 신뢰성 있는 통신을 제공하지 않음
UDP는 TCP보다 통신 데이터 처리 속도가 빠름
UDP를 이용하는 응용프로그램에서 어느 정도의 신뢰성 있는 통신을 해야 할 경우 다른 프로토콜을 함께 사용하여 신뢰성을 제공할 수 있음
TCP와 UDP의 정의는 RFC1700 문서에 정확하게 제공되어지고 있음 ex) https://www.ietf.org/rfc/rfc1700.txt
Well-Known 포트란 대부분의 시스템 간에 널리 이용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기본 값으로 설정되 어 있는 포트 번호를 의미함
<응용 계층>
OSI 참조 모델의 세션, 표현, 응용 계층의 역할을 수행하는 계층
네트워크를 통한 실제 사용자데이터를 처리 하는 계층
HTTP, HTTPS, FTP, SMTP, POP3, DNS등이 이 계층에 해당함
<TCP 헤더>
-TCP는 연결 지향형(Connection-Oriented) 서비스를 제공하고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보장함
-이러한 기능은 TCP 헤더 내의 각종 필드에 의해서 가능
<UDP 헤더>
-UDP는 TCP와 마찬가지로 전송 계층에서 동작하며 포트 번호를 기반으로 통신
-TCP와 달리 수신한 데이터에 대하여 수신확인 응답을 하지 않음
-TCP보다 헤더가 간단하며, TCP에서 지원하는 다양한 데이터 흐름 제어 기능을 수행하지 않음
-송수신 절차가 비교적 간단하고, 오류 제어 기능은 제공하고 있으므로 소량의 데이터 전송이나 실시간 데이터 전송에 효과적으로 사용되고 있음
-UDP는 송수신 장치 간에 비연결형(Connection-less) 서비스를 지원함
-비연결형 서비스를 하게 되면 데이터그램 간의 전후 관계를 고려하지 않고 전송
-UDP도 TCP와 마찬가지로 Well-Known Port를 기반으로 통신
<IP 헤더>
-OSI 참조 모델의 3계층인 네트워크 계층에서 사용되며, 패킷을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전달하는데 사용함
-IP는 최선형 서비스를 이용하여 패킷을 전달하지만 목적까지 확실히 패킷이 도착하는 것은 보증하지 않음
-그렇기 때문에 도중에 패킷이 손실될 수 있음
-IP 프로토콜이 가지는 최선형 서비스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상위 계층의 TCP와 같은 신뢰성 있는 프로토콜의 도움을 받아 이러한 단점을 보완할 수 있음
-IP는 네트워크 사정상 목적지 장치에 도착한 패킷들이 순서대로 도착하지 않을 수 있음
-V4가 사용되었다가 주소 부족 문제로 인해 V6가 대안으로 제시되었음
-IP는 비신뢰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데이터 흐름에 관여하지 않음
-현재 인터넷에서 주로 사용되는 표준 프로토콜은 IPv4임
'컴퓨터 공학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브넷팅과 VLSM (0) | 2022.06.30 |
---|---|
IPv4 및 IPv6 (0) | 2022.06.30 |
OSI 7 계층이 사용되는 네크워크 (0) | 2022.06.18 |
네트워크란? (0) | 2022.06.11 |
OSPF (0) | 2022.06.08 |